교육목표
1. 중국어 교사로서 갖추어야 할 교육철학 및 자질을 함양하고 교육에 필요한 기본 및 전문 중국어구사능력을 기른다.
2. 중국어 교육 전문가로서 종합적이고 체계적이며 실질적인 교수법 및 교육목표의 설정과 평가 및 교육과정의 수립능력을 함양한다.
3. 다양하고 가변적인 시대에 발맞춰 중국어뿐만 아니라 중국 및 중국어와 관계된 문화 및 제반분야를 연구·습득하여, 여러 상황에서도 실질적으로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교육과정
학수번호 | 교과목명 | 구분 | 학점 | 영문교과목명 | 교과목해설 |
---|---|---|---|---|---|
41341 | 논문지도 | 전공 | 4 | DIRECTED RESEARCH | 중국어 교육에 관한 학위논문을 개별 지도한다. |
41342 | 논문연구 | 전공 | 2 | THESIS STUDY | 석사논문을 위하여 중국어 교육에 관한 특정주제를 연구한다. |
41726 | 중국어교재연구및지도법 | 전공 | 2 | STUDIES IN CHINESE TEXTBOOKS AND TEACHING METHODOLOGY | 중국어 교육의 가장 중요한 길잡이라 할 수 있는 중국어 교재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내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도출해 내며 발전방향을 모색한다. 아울러 연구된 내용을 기초로 이상적인 학습효과를 얻을 수 있는 효율성 있는 교재로 재구성하는 힘을 기르며, 멀티미디어 자료를 포함한 다양한 자료를 가지고 직접 수업을 진행하여 교육현장에서의 실제 적용 능력을 함께 배양한다. |
41765 | 중국어교육론 | 전공 | 2 | CHINESE LANGUAGE PEDAGOGY | 중국어의 학문적 성격 및 특성을 규명하고 이론적인 토대를 개관한다. 중국어를 연구하는 목표와 방법에 대한 일정한 식견을 얻게 되며 중국어교육론의 인식적 특수성을 이해하게 된다. 아울러 효과적인 교수, 학습을 위한 이론의 분석과 수립 및 지도와 평가방법에 대한 체계적인 이론을 연구한다. |
41769 | 중국언어학특강 | 전공 | 2 | TOPICS IN CHINESE LINGUISTICS | 중국어 교학과 관련한 현대 중국언어학의 주요 주제나 쟁점을 소개한 다음 중국어에 관한 언어학적 감각을 향상시킨다. |
41771 | 중국문학특강 | 전공 | 2 | TOPICS IN CHINESE LITERATURE | 중국문학과 문학이론에 관련된 특정 주제를 집중적으로 연구 및 발표, 토의를 진행하여 중국문학 및 문학이론에 관한 이해를 심화시킨다. 아울러 이를 중국어 교육에 적절히 적용하여 중국어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의 폭을 지니도록 한다. |
41773 | 중국시가연구 | 전공 | 2 | STUDIES IN CHINESE POETRY | 중국 시가를 분석하고 감상하여 중국 시가 문학을 한층 깊이 이해한다. 아울러 중국 시가가 갖고 있는 언어의 음악성 및 형식미와 특성을연구하고 이해하여 중국어 교육에 적절히 반영토록 한다. |
41777 | 중국소설특강 | 전공 | 2 | SPECIAL TOPICS IN CHINESE NOVELS | 중국 소설에 대한 총체적인 이해와 더불어 쟁점으로 거론되는 다양한 문제와 주제들을 중점적으로 연구, 발표, 토의르 진행하여 중국 소설을 한층 깊이 이해한다. 우리에게 친숙한 장르인 중국 소설을 중국어 교육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을 함께 모색하도록 한다. |
42092 | 리더십과중국어교육 | 전공 | 2 | Leadership and Chinese Teaching | 리더십의 기본개념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실습위주의 중국어교육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성공적이고 효과적인 중국어 교육에 필요한 리더십 능력의 함양을 교육의 목표로 한다. |
42093 | 중국어교육과커뮤니케이션 | 전공 | 2 | Chinese Teaching and Communication | 본 강의는 중국어교육과 관련된 다양한 자료를 해석하고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하기 위하여 개설되었다. 이는 정보화 시대를 살아가는 중국어교사에게 있어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지적 능력이다. 따라서 이론 위주의 틀을 벗어나, 언어나 수치로 제시되는 각종 자료를 분류하고 해석하는 실제적 업무 처리 능력을 배양하는 내용으로 강의가 이루어진다. |
42094 | 중국어교육과정보화 사회 | 전공 | 2 | Chinese Teaching and Information Society | 본 강의는 정보화시대를 맞이하여, 정보화와 중국어교육에 대한 심도 있는 이해를 도모하고, 중국어교육에 있어서 실제적 과제해결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사회과학적 분석능력을 함양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42096 | 중국어문법지도 | 전공 | 2 | Teaching of Chinese Grammar | 중국어의 독해와 회화능력에 기본이 되는 중국어 어법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 연구한다. 중국어 학습자가 정확한 구문을 습득할 수 있도록 실용적이고 기능적인 측면에서 현대 중국어 어법을 강의하고 효과적인 어법교육의 방법을 제시한다. |
42097 | 중국어어휘분석과활용지도법 | 전공 | 2 | Analysis of Chinese Vocabulary and Applicative Teaching Methodology | 중국어 학습의 주요 내용인 어휘에 대해 심도 있게 분석하고 어휘 분석의 이론적 연구를 토대로 중국어 어휘 교육에 필요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한다. |
42099 | 중국어읽기및쓰기지도법 | 전공 | 2 | Teaching Methodology of Chinese Reading and Writing | 중국어를 정확히 읽고 해석할 줄 아는 능력을 기르고, 한자를 정확히 쓸 줄 아는 중국어에 대한 기초적인 소양 및 중국어 작문 실력을 키워, 교육현장에서 보다 올바르게 지도할 수 있게 하는데 그 교육목표를 두고 있다. |
42100 | 중국어듣기및말하기지도법 | 전공 | 2 | Teaching Methodology of Chinese Listening and Speaking | 듣기를 통해 올바른 발음을 익히고, 암기식 언어교육이 아닌 실용 회화 중심의 교육을 통해 중국어교육을 되짚어본다. |
42102 | 중국어교육교수법 | 전공 | 2 | Teaching Methodology of Chinese Language | 교수-학습 현상을 설명하는 다양한 이론들을 심리학적, 철학적으로 분석하여 그 이론적 가정과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중국어 교육에 주는 시사점과 한계를 규명한다. 또한 주요 교수-학습이론들을 심층 분석하여 그 심리학적, 철학적 배경을 이해하고, 중국어 교육에 줄 수 있는 시사점이 무엇인지를 논의한다. |
42103 | 영상매체를통한중국어교육 | 전공 | 2 | Chinese Teaching through Pictorial Media | 다양한 영상 매체를 활용을 통한 중국어 교육 자료로서 교육현장 가운데 보다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
42106 | 중국현대문학세미나 | 전공 | 2 | Seminar in Modern Chinese Literature | 중국 현대문학의 각 장르별 최신 대표작들을 살펴보고, 이 작품들이 중국어 교육현장에서 어떻게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는가를 살펴본다. |
42107 | 중국우언과동화읽기지도 | 전공 | 2 | Teaching of Reading Chinese Fables and Fairy Tales | 중국우언과 전래동화의 관계를 고찰하고, 동화읽기를 통해 중국어교육현장의 활용과 동화치료의 방법 등 다양한 활용방안을 모색한다. |
42293 | 중국문자교육 | 전공 | 2 | Teaching of Chinese Paleography | 중국 문자교육은 중국어의 자형 및 자의를 이해하는 기초 학문으로서 넓은 의미로는 자형, 훈고, 음운을 모두 포함한다. 중국인의 삶의 자취가 담긴 중국문자의 기원 및 제자방법 등을 육서를 중심으로 고찰하며, 문자의 변천과정을 분석 정리한다. |
42294 | 중국어번역의이론과지도 | 전공 | 2 | Theories and Teaching of Chinese Translation |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 번역이 지니는 의미와 역할을 이해하고 최근 다양하게 제기되고 있는 연구 성과를 검토한다. 아울러 실제적으로 작품번역을 통해서 교육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한다. |
42359 | 중국문화와중국어교육 | 전공 | 2 | Chinese Culture and Chinese Teaching | 다양하고 우수한 문화유산을 가진 중국의 역사, 지리, 종교 및 생활의 풍속 등에 대한 전반적인 연구와 이해를 진행하며, 이러한 것을 중국어 교육에 적절히 반영하여 중국을 언어만이 아닌 하나의 총체로 교육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42360 | 중국산문과중국어교육 | 전공 | 2 | Chinese Prose and Chinese Teaching | 중국 산문을 강독하고 감상하여 중국 산문의 특성을 이해한다. 아울러 산문에서 활용하고 있는 중국어의 언어적 특성 및 수사법을 살피고 연구하여 중국어 교육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한다. |
42361 | 중국드라마읽기와중국어교육 | 전공 | 2 | Reading in Chinese Dramas and Chinese Teaching | 중국희곡작품 및 이론을 연구한다. 중국에서 유명한 작품을 희곡사를 통하여 함께 강독하며 아울러 필요한 희곡의 이론을 공부한다. 필요한 경우는 시청각 자료를 함께 활용함. |
42362 | 백화문분석과감상지도 | 전공 | 2 | Teaching Analysis and Appreciation of Vernacular Language | 중국문학뿐만 아니라 중국어학의 양면적 효과를 가져 올 수 있는 과목으로 백화문으로 된 문학작품을 강독하여 어학적인 특징을 함께 연구하며 또한 중국사회에 관한 이해도 및 독해력을 향상시킨다. |
42363 | 중국현대문학특강 | 전공 | 2 | Special Topics in Modern Chinese Literature | 중국 현대문학의 대표적인 작품과 작가들을 개괄적으로 살펴보고 그 흐름 및 특성을 연구한다. |
42697 | 중국희곡연구 | 전공 | 2 | Studies in Chinese Dramas | 중국희곡작품 및 이론을 공부한다. 중국에서 유명한 작품을 희곡시를 통하여 함께 강독하며 아울러 희곡의 이론을 공부한다. |
42896 | 중국어교과논리및논술 | 전공 | 2 | Logic and writing for Chinese | 중국어 교과 특성에 부합되는 논리적 사고의 근본 법칙 및 논술에 관한 교육에 역점을 둔다. |
42897 | 시청각중국어교육 | 전공 | 2 | Audio-Visual Chinese Teaching | 다양한 영상매체의 활용을 통해 중국어가 실생활에서 어떻게 쓰이는지 알아보고, 중국어 교육 자료로서 효과적으로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 알아본다. |
42898 | 중국문화개관 | 전공 | 2 | General Introduction to Chinese Culture | 중국 문화 전반에 걸친 이해를 돕기 위한 서설로써, 이것을 중국어 교육에 적절히 반영하여 중국어의 배경이 되는 문화에 대한 고양을 배양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