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목표
1. 국어교육의 이념을 현실에 적용하고 실천하는 덕성을 함양함으로써 국어교육을 선도적으로 이끌어 가는 전문인을 양성한다.
2. 국어교육을 담당할 지도자로서 갖추어야 할 지식과 능력을 습득함으로써 국어문화의 발전에 기여하는 지도자를 양성한다.
3. 국어문화 전반에 대한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 문화의 다양성에 이바지하는 문화 전문가를 양성한다.
4. 세계문화의 발전에 능동적으로 참여하여 문화교류의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는 세계인을 양성한다.
교육과정
학수번호 | 교과목명 | 구분 | 학점 | 영문교과목명 | 교과목해설 |
---|---|---|---|---|---|
40057 | 문법교육론 | 전공 | 2 | KOREAN GRAMMATICAL STRUCTURE EDUCATION | 국어문법론의 최근 경향과 연구사를 이해하고 언어 영역의 문법론 분야를 간결하고 효율적으로 지도하고 응용하기 위한 제 방법론을 연구, 개발한다. |
40058 | 고전시가교육론 | 전공 | 2 | KOREAN CLASSICAL POETRY EDUCATION | 상고시대부터 조선 후기까지의 시가 작품을 사적으로 재조명하고 최근의 연구를 검토한 후, 교과과정에서 학생들로 하여금 한국의 시정신을 이해하고 감상, 향유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지 도하는 교육방법을 연구, 개발한다. |
40059 | 고전소설교육론 | 전공 | 2 | KOREAN CLASSICAL PROSE EDUCATION | 고전산문교육론 교과목명 변경 '99.9.1 고전 소설의 사적 전개에 대해 전반적으로 재조명하고 최근의 연구를 검토한 후, 교과과정에서 학생들로 하여금 한국 소설의 성격을 이해하고 감상, 향유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지도하는 교육 방법을 연구, 개발한다. |
40060 | 현대소설교육론 | 전공 | 2 | KOREAN MODERN NOVEL EDUCATION | 개화기 이래 최근까지의 한국 현대 소설 발달사를 주요 작가, 작품을 중심으로 재조명하고 최근의 현대소설 이론과 연구를 검토한 후, 교과과정에서 학생들로 하여금 현대 소설의 성격을 이해하고 감상, 향유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지도하는 교육 방법을 연구, 개발한다. |
40061 | 문학비평교육론 | 전공 | 2 | KOREAN LITERARY CRITICISM | 비평문학론 교과목명 변경 '99.9.1 현대문학 비평 발달사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현대 문학 비평의 이론과 최근의 연구를 검토한 후 각 장르의 문학 작품을 예술 및 교육적 관점에서 감상하고 비평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 키기 위한 교육방법을 연구, 개발한다. |
40062 | 현대시교육론 | 전공 | 2 | KOREAN MORDERN POETRY EDUCATION | 개화기 이래 최근까지의 한국 현대시의 발달사를 주요 작가, 작품을 중심으로 재조명하고 최근의 시문학 이론과 연구를 검토한 후, 교과과정에서 학생들로 하여금 현대시의 흐름을 이해하 고 감상, 향유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지도하는 교육 방법을 연구, 개발한다. |
40064 | 응용국어교육론 | 전공 | 2 | APPLIED KOREAN LINGUISTICS | 국어학의 실용적 응용 영역인 국어정서법, 국어문화론, 국어사회학, 국어정책론, 응용국어학 등 의 전반적 내용과 최근의 연구를 재조명하고, 학생들의 어문 능력의 제문제를 조사하여 한국인 으로서 고도의 국어사용능력을 갖추기 위한 지도방법을 연구, 개발한다. |
40065 | 구비문학교육론 | 전공 | 2 | STUDIES IN KOREAN ORAL LINGUISTICS | 구비문학 이론과 최근의 연구를 이해하고 상고시대부터 현대까지의 주요 구비문학 장르(판소리, 민요, 무가, 신화, 전설, 민담, 수수께끼, 속담 등)를 작품 중심으로 재조명하고 교과과정에 서 학생들로 하여금 한국인의 삶과 정서를 이해하고 감상, 향유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지도하는 교육 방법을 연구, 개발한다. |
40066 | 한문학교육론 | 전공 | 2 | SINO-KOREAN LITERATURE EDUCATION | 한국 한문학의 역사적 전개를 개관하고 시대별로 주요 작가와 작품을 연구하여 한문 및 한문학에 대한 이해를 돕고 한문 문화의 중요성을 깨닫게 한다. 아울러 한글 세대들에 대한 효율적 인 한자 지도를 위한 한자지도론도 포함하여 국어과 및 한문과 교사로서 한자어의 어휘 지도 능력과 한문 문장 지도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
40067 | 현대수필교육론 | 전공 | 2 | KOREAN ESSAYS EDUCATION | 고전수필과 현대수필의 역사적 전개를 개관하고 수필의 이론적 배경, 수필 작법, 수필 지도에 대한 제 이론을 섭렵한 후 주요 작가와 작품 세계를 분석, 재조명한 후 학생들로 하여금 한국 인의 사상과 정서를 이해하고 감상, 향유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지도하는 교육 방법을 연구, 개발한다. |
41339 | 논문지도 | 전공 | 4 | DIRECTED RESEARCH | |
41340 | 논문연구 | 전공 | 2 | THESIS STUDY | |
41378 | 국어교육론 | 전공 | 2 | STUDIES IN KOREA LANGUAGE EDUCATION | 최근의 국어과 교과교육 이론을 이해하고, 국어과 교과과정, 국어교육평가, 국어교사론, 국어교수법, 국어교육 연구방법, 21세기의 국어교육,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교육 등의 영역에 걸쳐 초ㆍ중ㆍ고ㆍ대학 및 평생 국어교육의 제문제를 살펴보아 국어교육자로서의 사명감을 고취하 며 국어교육의 이론과 실제를 조화시켜 현장 국어교육에 적용하는 교수법을 연구, 개발한다. |
41548 | 문학교육론 | 전공 | 2 | STUDISE IN LITERARY EDUCATION | 국어과 교과과정의 문학영역과 문학교육 이론의 내용을 전반적으로 이해한 후 한국 문학의 전통에 바탕을 둔 문학교육의 목표, 원리, 내용을 학생 발달 단계에 맞게 단계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방법을 연구, 개발한다. |
41549 | 희곡교육론 | 전공 | 2 | STUDIES IN KOREA PLAY EDUCATION | 한국 희곡문학의 역사적 전개를 이해하고 희곡의 이론, 작법, 학교 연극 지도에 대한 제이론을 연구하며 주요 희곡 작품을 중심으로 이해한 후 학생들로 하여금 한국인의 희곡, 연극에 나 타난 문학, 예술 정신을 이해, 향유할 수 있도록 지도하는 방법을 연구, 개발한다. |
42062 | 수필교육론 | 전공 | 2 | STUDIES IN KOREAN ESSAYS EDUCATION | 고전수필의 역사적 전개를 개관하고, 수필의 이론적 배경, 수필 작법, 수필 지도에 대한 제 이론을 섭렵한 후 주요 작가와 작품 세계를 분석, 재조명한 후 학생들로 하여금 한국인의 사상과 정서를 이해하고 감상, 향유할 수 있도록 효과적으로 지도하는 교육 방법을 연구,개발한다. |
42087 | 국어지식교육론 | 전공 | 2 | STUDIES IN LANGUAGE KNOWLEDGE EDUCATION | 최근의 국어학 이론과 국어과 영역의 '국어지식'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국어지식 영역의 구체적 교육방법을 다각도로 연구 개발한다. |
42088 | 말하기듣기 교육론 | 전공 | 2 | STUDIES IN SPEAKING & LISTENING EDUCATION | 인간의 의사소통 이론을 이해하고 민주시민교육으로서 '말하기, 듣기' 영역의 제 문제를 이해하고 화법교육 발전을 위한 기본 소양을 모색하고 연구한다. 아울러 대화, 토론, 연설 등 화법의 다양한 유형을 접해 봄으로써 의사소통 능력의 향상을 위한 말하기 듣기 지도법을 연구 개발한다. |
42089 | 쓰기교육론 | 전공 | 2 | STUDIES IN WRITING EDUCATION | 영상 정보화 시대의 글쓰기 능력 향상을 위하여 '쓰기' 영역의 제 문제를 이해하고, 다양한 글쓰기의 유형, 글쓰기의 단계, 글쓰기에 대한 평가 등을 연구하며, 담화 이론, 문장심리학, 문체론, 국어정서법, 문예창작론, 어휘론 등의 인접 분야를 응용한다. 또한 학생들의 글에 나타난 오류를 교정 해 줌으로써 쓰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쓰기 지도법을 연구 개발한다. |
42090 | 읽기교육론 | 전공 | 2 | STUDIES IN READING EDUCATION | 영상 정보화 시대의 읽기 능력의 향상을 위하여 '읽기' 영역의 제 문제를 이해하고, 다양한 읽기의 유형, 읽기의 단계, 읽기에 대한 평가 등을 연구하며, 언어심리학, 문헌 정보학, 담화인지이론, 서지학 등의 인접분야를 응용하여 학생들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읽기 지도법을 연구 개발한다. |
42541 | 국어교육논문작성법 | 전공 | 0 | ||
42851 | 국어교과논리및논술 | 전공 | 2 | Logic And Writing For Korean | 창의적이고 비판적인 사고로 사물과 텍스트를 해석하고 이를 논리적인 글로 표현하는 능력을 계발한다. |
42852 | 국어교재연구및지도법 | 전공 | 2 | A Teaching Method of Korean | 국어과 교과교육의 교수-학습 이론을 국어교재의 연구, 개발, 지도론의 영역에 걸쳐 연구하며, 궁극적으로는 국어교사로서의 지도 능력을 계발한다. |
42853 | 국문학사 | 전공 | 2 |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 한국 현대,고전문학의 역사적 형성과 전개과정을 개관하고, 각 시대와 작가, 작품과의 관계 및 문학적 경향을 파악한다. |